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용점수제도에 대해 얘기를 해볼건데요.

2021년 1월1일부터 시행되는 개인신용평가 제도가 등급제에서 점수제로 변경되는데요.

신용등급대신 점수제가 되입되면 이전보다 정교한 심사가 가능해지고,신용등급에 따른 획일적인 대출거절 관행이 개선돼 

저신용층의 금융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왜 신용점수제로 변경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신용점수제란?

 

신용등급제는 신용이 가장 좋은 1등에서 신용이 좋지않은 10등급으로 나눴던 방식이었다면 신용점수제는 1~1000점으로 세분화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상위누적
구성비(%)
전 국민 대비 나의 신용점수 순위를 %로 표현
0~100%사이로 표현되며,0%에 가까울수록 좋음
장기연체
가능성(%)
대출을 해을시 1년 안에 3개월(90일)장기연체를 할 가능성을 예측
0.01~2.00% 사이로 표현되며 숫자가 적을수록 좋음

1~1000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1000점에 가까울수록 신용이 높습니다.

 

2.신용점수제로 바뀌는 이유

 

 신용점수제로 바뀌는 등급제가 가지고 있는 문턱을 없애기 위함입니다.현재는 7등급 이하의 신용 등급자들은 대출 금리 상승,대출 한도 하향 및 대출 제한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6등급과 7등급은 1등급차이로 불리한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이러한 문제점을

2021년도 개정된 신용점수제로 바뀐다면 신용도를 지금보다 더 다양하고 세분화하여  현 제도보다 합리적일 것이라는 겁니다.

신용점수제가 도입되면 개인신용평점 상위누적구성비 93% 이후 또는 장기 연체 가능성 0.65% 이하라면 신용등릅을 발급이 가능합니다.

3.나이스신용 평가 기준의 세부사항과 신용등급 올리는 꿀팁

 

첫째,기존 취준생,주부,고령자 등 금용거래가 없었던 씬파일러(금육이력부족자)의 경우 금융 분야에 대한 평가가 추가되면서

         공공요금,보험료,통신비,관리비 등을 연체없이 납부한다면 금융거래가 없더라도 등급을 올릴 수 있다.

         하지만,여기서 중요한건 통신비와,건강보험등을 연체했다면 신용점수가 큰 폭으로 하락할 수 있기에 주의를 해야한다.

 

둘째,카드 소비 패턴의 주요도가 커졌다.KCB는 카드 이용 정보를 포함한 신용거래형태 비중을 기준 38%로 확대,

나이스평가정보도 신용형태의 비중을 29.7%로 늘렸다.

연체시 신용점수가 대폭 하락할 수 있기에 꼭 연체하지 주의해야한다.

 

셋째,대출 평가 기준의 변경되어 대출 종류,금리수준,대출 규모 등 다양한 관점에서 신용을 평가합니다.

 

넷쨰, 신용평가 대상 연령이 변경됩니다.100세 시대인 만큼 경제활동이 길어졌기 때문에 신용점수 미산출 연령을 100세 이상으로 조정됩니  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