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신제품의 안전성 평가 방법

 

1.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안전성에 대한 정보수집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른 재해예방 기술의 개발도 병행해 나가야 한다. 필요한 때에는 기계장치의 안전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여러 가지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사고방지를 위한 공학적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2.원재료의 성질을 어떤 것으로 할 것인지 그 재료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을 충분히 조사 검토해야한다

모든 설계는 구조 강도 기능과 조잡성 보수성 신뢰성 등을 풍분히 감안하여 설절된 안전 설계기분에 위하여 본질적 안전화를 기초로 해야하며 여기에  풀 프루프 페일 세이프등의 안전장피를 채용하여 잘못 사용.오조작.고장시의 대책을 세우고 과부하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생산에 사용되는 재료는 설계서에 지정된 재료인지 구입된 재료나 부품은 규격표시 제품인지 설계대로 가공되고 있는지 생산관리가 제대호 되고 있는지 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2.사용 중인 기계의 안전성 평가 방법

 

기존 기계에 대한 안전성 평가는 실제로 기계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검토되는 것으로 경험을 통하여 평가르 ㄹ하므로 어렵지는 않다.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장기가 ㄴ사용으로 인한 기계의 노후 부품의 노후 재질의 노후 등 보이지 않는 기계 자체의 물성적 변화에 의한 잠자적 위험을 어떻게 평가할 것이냐 하는 것이다.

 

3.사용중인 기계의 개조에 대한 안전성 평가 방법

 

사용중인 기계에 새로 부착되는 부분은 시제품의 잔전성 평가 중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적용되어야 하며 기존 부분의 안전성 평가는 사용 중인 기계의 안전성 평가에 따라서 한다. 새로운 부분과 기존부분의 연결점에 있어서는 노후된 기존부분에 대한 설계상의 풍분한 검토가 있어한다.

 

4.시설배치에 따라 안전성 평가 방법

작업의 흐름에 따라 기계를 배치한다.불필요한 운반작업을 제지할 수 있으며 공간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크레인 포크리프트 등을 이용하는 운반기계 설비의 자동화에 크게 도움이 된다.

기계설비 주위에 충분한 운전공간 보수점검 공간을 확보한다. 재료 반제품 공구상자 등으 ㄹ놓을 수 있는 공간도 고려해야 한다.

공장내외는 안전한 톨로를 두어야 하며 선을 그러 작업장과 명확히 구별하도록 한다.

공장내외는 안전한 통로를 두어야 하며 통로는 선을 그어 작업장과 명확히 구별하도록 한다.

기계설비를 통로측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통로쪽으로 등을 향하여 일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원재료나 제품을 놓을 장소는 충분히 확보한다.

기계 설비의설치에 있어서 기계 설비의 사용 중 피룡한 보수 점섬이 용이하도고 배치한다.

비상시에 쉽게 대피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고 사고 진압을위한 활동통로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장래의 확장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철로인입선

1.1.2m이내의 주위에 시설물을두지 않는다.

2.철로 위 7m이내에는 시설물을 두지 않는다.

3.철로와 고압선간에는 최소 10m간격을 유지한다.

 

통로

1,차량이 통행하는 통로는 가장 큰 차량의 폭보다 70cm이상 넓어야 한다. 일방통행이 아니고 쌍방통행일 경우에는 가장 넒은 파량의 2배보다 넓게 한다.또한 차량속도제한은 10km이내로 한다.

 

출구

비상용으로 적합해야 한다.따라서 작업장에는 적어도 서로 반대방향에 2개의 출구가 있는 것이 좋다.

 

층계 경사각이 30~50도 이하로 해야 하며 각 단 높이는 20cm이하로 하고 미끄러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해야한다.

 

층계손잡이 0.8cm 이상 높이의 층계에는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폭이 1.1이하인 경우에는 한쪽에 손잡이를 두는 것이 좋으며 이상인 경우에는 양쪽에 그리고 2.2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중간에도 손잡이를 두는 것이 좋다

 

 

반응형
댓글